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94)
Stack(C언어) Stack Stack은 데이터를 담는 자료구조로, 데이터를 역순으로 저장할 수 있는 자료구조이다. Stack은 나중에 받은 데이터를 제일 처음(Top)에 저장하고, 마지막으로 받은 데이터부터 반환하는 Last In First Out(LIFO) 구조이다. Stack은 다음과 같은 기본적인 연산을 가진다. 1. push() - Stack에 데이터를 넣는다 2. pop() - Stack의 Top에 있는 데이터를 제거, 반환한다 3. peek() - Stack의 Top에 있는 데이터를 제거하지 않고 반환한다 4. isEmpty() - Stack이 비어있는지 여부를 반환한다 5. size() - Stack의 크기를 반환한다 상황에 따라 추가적인 연산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림을 통해 Stack을 이해해 보자. 비어..
LinkedList(C언어) LinkedList LinkedList는 자료구조의 일종으로, 배열과 같이 여러 개의 자료를 저장할 수 있는 새로운 자료형이라고 이해하면 된다. 여러 개의 정수, 심지어 여러 개의 구조체도 저장할 수 있다. LinkedList의 개념은 다음과 같다. 우선, LinkedList 구조체부터 선언한다. struct LinkedList { int data;//Linked List가 가지는 데이터 LinkedList* next;//다음 Linked List의 주소 } typedef LinkedList; 그림으로 보면 다음과 같다. 이제, next에 다른 LinkedList*를 넣어 다음(next) LinkedList에 연결해 주자 이렇게 하면 두 개의 LinkedList가 연결되었다. a의 next가 b의 주소를..
2023 2학기 C/자료구조 튜터링 2023년 1학기부터 학교에서 튜터링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후배들에게 프로그래밍 기초를 가르치고 있었다. 방학 동안에도 밴드 동아리 후배들에게 C언어를 가르쳐주고, 작은 해커톤을 진행했다. 이번 학기에는 가르치는 내용을 정리하려고 이 카테고리를 개설했다. 필자도 아직 공부 중이라 미숙하고 많은 부분을 이해하지 못하지만, 지식을 나누고 소통하는 즐거움을 경험하고자 한다. 이번 학기에는 C언어를 사용한 기초 자료구조와 C++의 클래스를 가르칠 예정이다.
HTTP status 401과 403의 차이점 401(Unauthorized) 뜻 그대로 권한이 없는, 인증되지 않은 클라이언트라는 의미이다. 인증되지 않은 클라이언트는 다양한 경우가 있겠지만, 로그인을 하지 않은 사용자를 예시로 들 수 있다. 로그인을 하지 않은 사용자가 로그인이 필요한 기능에 대한 요청을 했을 때 throw 하기 적절한 응답이다. 403(Forbidden) Unauthorized와 비슷하지만 명확하게 다른 점이 있다. Forbidden은 클라이언트가 보낸 요청에 대해서 해당 클라이언트에게 권한이 없음을 나타내는 status code이다. 일반적인 유저가 관리자 페이지에 접근하는 경우(관리자 권한이 없는 유저가 관리자 권한이 필요한 기능에 대한 요청을 한 경우) throw하기 적절한 응답이다. 이 차이점만 두고 보면 권한이 없으면 ..
Role을 통한 User 인가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모든 데이터에 대한 CRUD API를 만들었다. 기능을 추가해 가면서 CRUD API를 관리자 전용으로 바꾸기로 해서 모든 User에 Role을 부여하고 이를 통한 인가를 구현하기로 했다. 인증? 인가? 인증이란, 사용자의 신원 그 자체를 검사하는 프로세스를 말한다. 로그인을 인증의 예시로 들 수 있다. 인가란, 요청을 보낸 클라이언트를 식별하여 해당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대한 권한을 검사하는 것을 말한다. 관리자 전용 API 등을 예시로 들 수 있다. User Entity User Entity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User Entity의 role을 사용해 인가를 구현할 것이다. (예시 코드) /** * @description * 일반 사용자 - USER * 관리자 - ADM..